카테고리 | 설명 | 주요기업 |
1. General-Purpose Integration (End-to-End Value Chain) | 하드웨어-AI-서비스를 전체 통합 운영하여 비용 최적화와 빠른 시장 선점. | Tesla (Optimus), Boston Dynamics (Atlas), Figure AI (Figure 02), Unitree Robotics (G1), 레인보우로보틱스 |
2. AI-Focused Platforms (AI-Centric Platforms) | AI 모델/소프트웨어 특화(오픈소스 포함), 외부 하드웨어 연계로 중간 수익화. 생태계 구축과 개발자 자원 제공. | Google DeepMind (Gemini Robotics AI), Sanctuary AI (Phoenix), 1X Technologies (NEO), 네이버재팬 (ARC mind), Hugging Face (LeRobot, HopeJR/Reachy Mini 오픈소스 로봇 AI), NVIDIA (GR00T 오픈 모델/시뮬레이션), K-Scale Labs (K-Bot 오픈소스 디자인), Berkeley Humanoid Lite (3D-printed 오픈소스 플랫폼) |
3. Domain-Specific Specialists (Industry-Tailored Services) | 특정 도메인(예: 물류/헬스케어)에 맞춤 운영으로 빠른 시장 진입. | Agility Robotics (Digit), Apptronik (Apollo), Pudu Robotics (D9), SoftBank Robotics (Pepper), KT (AI 서비스 로봇), LG전자 (CLOi GuideBot) |
4. Hardware/Component Specialists (Pure Component Supply) | 부품(센서/칩) 공급, 파트너십을 통한 간접 수익. | Intel (RealSense), Qualcomm (5G/AI 칩), Hexagon (AEON), 삼성전자 (센서/HBM), SK하이닉스 (HBM3) |
수익성 관련
1. General-Purpose Integration: 아직 상용화 초기라 대부분 투자 단계. Tesla Optimus는 2025년 생산 시작 예정이지만 매출 미공개, 잠재력만 강조됨(투자 중심). Boston Dynamics는 Atlas R&D 중심으로 연매출 추정 2억 달러 미만(대부분 다른 로봇 제품). Unitree는 저가 G1 판매로 소규모 매출(5,000만 달러 추정)이 있지만, 전체적으로 비용 초과.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 지원으로 200억 원 수준 매출이지만 휴머노이드 비중 낮음. 수익률은 아직 부정적 또는 낮음.
2. AI-Focused Platforms: 투자 중심으로 초기 매출 거의 없음. Google DeepMind Gemini Robotics AI는 클라우드 연계로 간접 기여하지만 로봇 특화 매출 미미. Sanctuary AI와 1X Technologies는 펀딩(1억 달러+) 중심, 상용화 미달. 네이버재팬 ARC mind도 AI 매출 일부(300억 원 내)지만 휴머노이드 초기. 오픈소스 기업(Hugging Face LeRobot, NVIDIA GR00T, K-Scale/Berkeley)은 커뮤니티 성장으로 잠재력 있지만 매출 소규모(투자 의존).
3. Domain-Specific Specialists: 특화 파일럿으로 소규모 수익 나오지만 전체 투자 단계. Pudu D9는 서비스 시장에서 2억 달러 추정 매출이 있지만 휴머노이드 비중 제한. SoftBank Pepper는 1억 달러 수준이지만 감소 추세. KT/LG는 로봇 매출 500억 원 합산이지만 휴머노이드 초기, 비용 초과.
4. Hardware/Component Specialists: 부품 공급으로 간접 매출 있지만 로봇 시장 기여 작음(전체 매출의 1% 미만). Intel 550억 달러, 삼성 반도체 700억 달러, SK하이닉스 300억 달러 중 로봇 관련은 소규모. 투자보다는 기존 사업으로 안정적이지만 휴머노이드 특화 수익은 아직 초기.